top of page

CODES of STREET

인스타로고.png
인스타로고.png
전시 포스터_세로형.jpg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작품 정보를 볼 수 있는 THEO의 Artsy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THEO는 2022년 11월 18일부터 12월 23일까지 기획 단체전 『CODES of STREET』를 개최합니다.

CODES of STREET | Culture & Art

: 다양성과 독창성의 상징, 주류문화가 된 ‘Street Culture(스트릿 문화)’

*Street Culture: 도시 환경에서 자라는 젊은이들 간의 공통된 가치관과 생활양식

 

대한민국의 고유 전통문화로 소개되고 있는 '국악', '사물놀이' 등이 있다면, '힙합'으로 대변되고 있는 스트릿 문화가 미국에서 자리 잡고 있다. 1970년대 스트릿 문화는 흑인[Black People]에서 발생이 되었으며, 대표적 요소인 '그래피티(Graffiti)', '엠씨(MC)', '디제이(DJ)', '브레이킹(Breaking) 댄스' 등을 통해 젊은 세대 주축으로 폭넓은 표현 방식을 생성하고 실험적인 활동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후 스트릿 문화가 담고 있는 다양한 예술적 표현 방식들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며 다양한 국적/세대의 주류 미디어: 영화, 광고, 음반, 패션, 예술작품 등을 통해 확산 지지를 얻게 되며 오늘날 보이는 대중문화 형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현대 팝아트를 대표하는 '키스 해링(Keith Haring)',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등의 예술가들도 1980년대 이후 뉴욕을 중심으로 스트릿 문화의 장, 거리에서 작품 세계를 펼쳤다. 최근 현대 미술시장을 토대로 스트릿 문화와 연결되는 예술세계를 선보이고 있는 '카우스(KAWS)', '오베이(OBEY)', '뱅크시(Banksy)' 작가들이 예술⦁상업적으로 큰 흥행을 하고 있다. 이렇듯 힙합과 스트릿 문화는 어느 순간 유행처럼 나타나고, 사라져 온 것이 아니라, 아주 평범한 일상에서 우리의 삶과 예술적 관계를 동시대에 함께 해 온 것이다. 전시 『CODES of STREET』은 아직 국내 예술시장에서 유행성으로만 받아들여지고 있는 스트릿 문화의 기존 관념과 인식에 대한 모호하고 불확실한 예술적 이미지 등을 탈피하는 현대미술의 강점이 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스트릿 문화가 포함하는 모든 체계와 기호, 예술과 연결되는 표현 방식의 정연한 조화와 형식 균형의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상업미술 공간에서의 트렌디한 전시 장르를 솔직하게 풀어낸다. 『CODES of STREET』 첫 전시회에 참여하는 「故 김정기 작가」, 「데칼(DEKAL)」, 「08AM」, 「지과자」, 「황대환(D2)」, 「미스터 신(MR.$HIN)」, 「왕지원」, 「Superani: 박재광, 김동호, uniquelab」 10인은 스트릿 문화를 반영하고 ‘스트릿 문화의 정체성’을 담은 현대미술의 다채로운 작품들을 선보이며, 스트릿 예술의 비전을 제시하는 전시로 기록이 될 것이다.

-故 김정기 작가를 추모하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