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를 통해, 참된 자유와 예술가의 권리를 표현하는 전시
BRAVE NEW WORLD _ 멋진 신세계

“For we worship art, we seek God and literature.
And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real danger.
In this way, we artists desire true freedom
And we strive to express art rights that we demand.”
NFT(Non Fungible Token) is the technology that can perfectly protect the copyright of creations in such a world.
In March 2021, digital artist Mike Winkelmann’s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traded at Christie's, the world’s largest auction house, for $69.3 million dollars. Beginning with this event, similar affair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traditional art market have become a big issue in the news media.
Accordingly, the environment and terminology of NFT has become a trending topic for art lovers and artists who are quick on their feet, and as well as for companies like Google and Facebook, which are jumping in to invest for future technology of NFT. The key points that the art world should pay attention to at this stage are the fact that art collectors and artists can be strongly guaranteed the ‘rarity’, which is the core element of the art market, and the ‘digitalization’ of ‘physical’ works that evolves with NFT technology.
In Law of Media, written by the great media scholar Marshall McLuhan, the artist is defined as “the person who invents the means to bridge between biological inheritance and the environments creat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
We believe that the main job of an artist is to observe/explore the world and to do their own art and creative activities under the inspiration of science and natural philosophy.
The name of the exhibition [Brave New World] is from a 1932 novel by British novelist Aldous Huxley.
The novel seems to be satirizing the terrifying world dominated by science through the term ‘Brave New World’, but these six artists are trying to reinterpret it as ‘brave artists living in a wonderful new world’.
[Brave New World], an exhibition by six artists who create a ‘brave new world’ by playing between digital_NFT’ and physical artworks, will be one that demonstrates true freedom of the coexisting virtual and real worlds, and the right to creativity that the artists proclaim.
“ 우리는 예술을 숭배하기에 신도 원하고, 문학도 원한다.
그리고 진정한 위험에 처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처럼 우리 예술가들은 참된 자유를 원하고,
우리가 추구하고,
요구하는 예술적 권리를 표현 하고자 한다.”
우리는 현재 모든것이 완벽한 복제가 가능한 온라인 세상에서 살고 있다. NFT (Non Fungible Token·대체불가토큰)는 이러한 세상에서 창작물의 저작권을 완벽히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다. 2021년 3월 디지털 아티스트인 마이크 윈켈만(Mike Winkelmann)의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가 6930만달러(약 826억원)에 세계 최대 경매 업체 크리스티에서 거래를 시작으로 전통적인 미술시장이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뉴스미디어를 통해 화재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발빠른 미술 애호가들과 작가들에게 NFT의 환경과 용어가 화두가 되고,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여러 기업들도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NFT 라는 미래 기술에 뛰어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미술계가 다시한번 주목해야하는 포인트는, 미술품 거래 경제의 핵심인 ‘희소성’을 작가와 소장자가 강력하게 보장 받을수 있다는 요소와 NFT기술로 진화 되는 ‘피지컬’ 작업의 ‘디지털’화 일 것이다.
위대한 미디어 학자인 마샬맥루한 (Marshall Mcluhan)이 집필한 [Laws of Media]에서 ‘예술가는 생물학적 유전과 기술 혁신에 의해 만들어진 환경 사이의 가교 수단을 발명하는 사람이다’ 라고 예술가를 정의 하였다. 본래 예술가의 본업은, 세상을 관찰/탐험 하고 과학과 자연철학의 영감을 받아 고유의 창작활동을 하는것이라 생각한다.
전시 [Brave New World]의 전시명은, 영국의 소설가 헉슬리 (Aldous Huxley)의 1932년 소설에서 가져왔다.
소설의 본래 메세지는 과학이 지배한 공포스러운 세상을 풍자하려 ‘멋진 신세계’ 라 정한듯 보이지만, 우리 여섯명의 작가들은 ‘멋진 신세계를 살아가는 용감한 예술가들’로 재해석 하려한다.
디지털_NFT’과 피지컬 작품을 넘나 들면서 [멋진 신세계]를 만드는 여섯 작가들의 전시 [Brave New World]는, 양립하는 가상과 현실세계속에 담긴 참된 자유와 예술가들이 외치는 창작의 권리를 보여주는 전시가 될 것이다.